한국화
(이페이지의
내용은 지금은 절판된 동아출판사 high top 참고서의
내용을 많이 인용했습니다.)
*전통회화의 특징
1) 정신적이며, 상징적이다. 2) 선과
여백의 미를 중요시한다. * 여백
-의도적으로 남긴 공간으로 무한한 공간(소우주)를 암시함
*특징과 종류
1) 수묵화
: 수묵의 농담만으로 표현한 그림 2) 수묵담채화 : 수묵으로 그린 후 엷게 칠한 그림 3)
후채화(진채화, 농채화): 채색을 위주로 물감으로 두텁고 진하게 채색한 그림,
*한국화와 서양화 비교
한국화
|
서양화 |
①선과
여백을 중시
②정신적, 내면적, 정적
③주관적,
상징적 자연 해석
|
①면,
명암, 양감 표현으로 실재감 중시
② 물질적, 입체적,
동적
③사실적, 탐구적 자연 해석
|
|
↑ 연적 *재료와 용구
1) 문방사우 : 종이, 붓, 먹, 벼루 2) 기타 : 문진,
연적, 접시, 담요, 붓말이 등
|
|
-수묵화의 표현 기법- *삼묵법
1) 농묵
: 진한 먹색으로 가까운 것의 표현 2) 중묵 : 중감 정도의 먹색으로 중간에 있는 것의 표현
3) 담묵
: 엷은 먹색으로 먼 것의 표현 ▽ 지학사 |
(그림자료 : 삼화출판사
교과서)
|
*주요기법 1. 구륵법 : 먹으로 윤곽선을 그리고 그 안에 수묵이나 채색
처리
2. 몰골법 : 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바로 수묵이나 채색 처리
3. 백묘법
: 먹선으로 물체의 윤곽만 표현
|
(교학사교과서)
|
(교학사교과서)
|
백묘법(두산동아교과서김동희학생작)
|
4. 준법 : 아래의 그림
처럼, 산이나 바위의 양감표현 방법 (자료
: 동아출판사 high top 참고서)
먹의 효과
|
화선지를 접어서 먹을 묻힌후 펼쳤을
때 벅의 번짐 효과
|
흐린 먹위에 진한 먹이 지나가면서
나타나는 효과
|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먹의 효과
|
(그림자료 : 삼화출판사
교과서)
*전통회화의 종류
1.
산수화 : 자연 풍경을 그림 2. 인물화 : 초상, 신선, 영정을
그림 3. 화조화 : 꽃과 새를 소재로 하여 그림 4.
영모화 : 새나 짐승을 소재로 그림 5. 초충도 : 풀,
벌레를 소재로 그림 6. 풍속화 : 그 시대의 생활상이나 풍속을
그린 그림 7. 기명절지화 : 꽃, 책, 그릇 등 정물을 그린
그림. 8. 민화 - 우리 조상들의 미의식과 감정을 잘
알 수 있는 옛 그림으로 우리 조상들의 삶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며
꽃과 새, 호랑이, 산수, 풍속, 불교, 윤리 등을 중요한 내용으로 다루고
있으며 아름답고 진한 채색으로 그려진 그림이 많으며, 무명의(평민)
화가들이 그린 그림.
<민화>
|
|
▲ 신사임당-초충도
|
|
|
|
▲ 유재건-어해도
|
▲ 변상벽-영모화
|
9. 문인화 : 전문직업화가가 그린 그림과 구별하여,
문인들이 여기로 그린 그림을 말한다.
■ 사군자 : 매, 난 국,죽
■ 남종화 |
▲ 인곡유거도정선, 조선, 지본담채 (남종화)
|
중국 명대의 막시룡, 동기창이 제창한 화가의 계통이자 화풍이다, 북종화에 대립하는 개념으로 문인화와 같은 뜻으로 해석된다. 청의 심종건은 사승.사숙의 관계로 산수화의 양식사로서 정리했다. 당의 왕유를 시조로 오대남당의 동원(董源), 북송의 거연(巨然), 미불(米芾) ∙ 미우인부자(米友仁 父子), 원말의
황공망(黃公望) ∙ 예찬(倪瓚), 왕몽을 거쳐 명 중기 오파(派)의 심주(沈周), 문징명(文徵明), 명말의 동기창에 이른다. 그외 화북계
산수화의 창시자 형호(荊浩), 이성(李成), 범관(范寬) 등이 포함된다. 화풍의 특색은 천진하고 감흥을 존중하며 산모양, 나무 그리는 법,
피마준(披麻皴) 등 부드러운 준법(皴法)을 사용했다. 한국에는 조선 중기경 남종화가 전래되었다. (출처-네이버 지직 백과) 내용 자세히 보기 ▼ 조속 -금궤도 (북종화) |
■ 북종화
중국 명대(明代) 말기의 동기창(董其昌)과 막시룡(莫是龍)이 당대(唐代) 선종(禪宗)의 남북분파에 착안하여 중국회화를
출신 신분과 화풍에 따라 남북2종(南北二宗)으로 구분지은 데에서 생긴 명칭이다.
주로 산수화에서 남종화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쓰이며, 직업화가들에 의하여 외면적 형사(形似)에 치중하여 그린 기교적이고
장식적인 공필화(工筆畫) 계통의 그림을 일컫는다.
명대 말기의 분류 기준에 따르면 청록산수화(靑綠山水畫)를 비롯하여 북송의 곽희파(郭熙派)와 남송의 마하파(馬夏派)
산수화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종화에 비하여 유입이 빨라 조선 초기 및 중기까지 화단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 대표작으로는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1447년작, 일본 天理大學 소장)가 있으며, 청록산수화로는
조속(趙涑)의 「금궤도(金櫃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와 안중식(安中植)의 「도원문진도(桃源問津圖)」(호암미술관 소장) 등이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996.1.5, 한국학중앙연구원 |
|
|